본문 바로가기

의학정보

[빈혈]투석환자의 빈혈관리는 어떻게 하는 걸까

반응형

투석환자가 빈혈이 생기는 이유

신장에서 생성이 되는 조혈인자의 생성이 감소가 가장 큰 원인이다.

조직의 저산소증 자극에 의해 신장에서 만들어지는 정상적인 당단백 호르몬으로,

이와 같은 조혈인자는 골수의 적혈구 전구 세포에 작용하여 새로운 적혈구 생성을 촉진하는데

신장 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이와 같은

조혈인자의 생성이 감소되고, 골수에서 새로운 적혈구 생산이 줄어들면서 빈혈이 발생한다.

적혈구형성인자의 부족과 철분 결핍 외에도

요독 억제제, 염증, 헵시딘, 부갑상선기능 항진증, 적혈구 생존기간 단축 등이

만성신부전에서 빈혈의 발생에 관여를 한다.

한마디로 요독소와 염증이 여러 과정을 통해 골수에서의 적혈구 생성을 저하시키고,

적혈구의 생명 주기를 단축시키는 것이 만성신부전에서 빈혈이 발생하는 주요 기전이다.

빈혈치료 권고안

KDOQI에서는

Hb 11g/dL 이상

Ferritin 200mg/dL 이상

TSAT 20% 이상

를 권고하고 있다.

빈혈 치료 방법

<ESA제제(Erythropoiesis-Stimulating Agent - 조혈자극제)>

적혈구 조혈 자극제로 적혈구를 만들기 위해 골수를 자극 하는 약물이다.

IV나 SC로 주입할 수 있으며, 투석환자는 투석 마지막이나 투석 직후에 투여하게 된다.

부작용으로는 고혈압, Hct증가에 따라 혈관 내/투석 시 혈액응고가 증가 할 수 있다.

 
 
 
 

rHuEPO제제로 상품명은

에포카인프리필드주, 에스포젠주 등이 있다.

용량으로는 1000, 2000, 3000, 4000, 6000, 8000, 10000IU 있다.

DA제제로 상품명은

네스프가 있으며,

용량은 20, 30, 40, 60, 120 μg이 있다.

Methoxy polyethylene glycol-epoetin beta제제로는

미쎄라프리필드가 있으며,

용량은 50, 120, 200 μg이 있다.

<철분제의 종류>

투석환자들은 위장관에서의 철분 흡수 장애, 혈액손실, 만성 염증, 조혈제 사용에 의한 철분 요구량 증가 때문에 철분 결핍상태에 빠지기 쉬우며, 조혈제 투여에도 빈혈이 개선되지 않는 경우 대부분은 철분결핍의 원인이다.

 
 
 
 
 
 
 
 
 

조혈제 및 철분제의 급여기준

➡️Hb 11g/dL, Hct 33% 까지 요양급여 인정 (2016.8~)

➡️투석 중인 만성 신부전증 환자에게서 Hb 11g/dL 이하인 경우 인정하며

ferritin 200ng/ml미만 또는 TSAT 20%미만인 경우

➡️충분한 양의 조혈제를 투여함에도 빈혈이 개선되지 않는 경우

Ferritin 300ng/ml미만 또는 TSAT 30% 미만인 경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