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혈액은 정상적인 혈관 내층 이외의 표면을 만나면 응고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개인의 생명을 보존하는 매우 중요한 기전이다. 혈액의 이러한 응고 기전을 막지 않는다면 혈액투석 시스템의 체외순환 회로가 응고가 되어 더 이상 혈액투석치료가 불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체외순환 회로에서 혈액 응고를 막기 위한 몇 가지 방법이 있고 그의 각 장단점이 있다.
<항응고요법>
▪️정의
➡️혈액 응고의 차단,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것을 항응고요법이라고 한다.
➡️정상적인 혈액은 혈관계 내에서 응고가 되지 않는데 특정 조건하에서 응고가 형성이 된다.
가장 흔하게는 손상 기전 시 혈전을 형성하여 혈관을 막아 혈액 손실을 막는 작용이다.
▪️원인
➡️손상 혈관의 수축과 위축
➡️손상 부위에 혈소판이 들러붙는 경우
➡️응고인자들의 복잡한 상호작용 등을 포함하는 경우
➡️혈소판은 외부 표면과 접촉에 의해 파손이 되는데,
이것은 혈소판 제3인자가 방출되어
혈소판이 혈관 벽에 부착되거나 들러붙어 응고 과정이 시작된다.
<혈액투석을 하는 동안 항응고요법이 필요한 이유>
▪️혈액은 투석기나 투석 혈액 라인 등과 같은 외부 표면에 접촉 시 응고가 시작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항응고제를 사용하게 된다.
👇👇👇👇👇간단하게 정리👇👇👇👇👇👇

<항응고요법>



반응형
'의학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액투석] 투석 혈관 자가혈관(AVF), 인조혈관(AVG) (1) | 2025.02.04 |
---|---|
혈액투석의 시작 < HD Catheter, perm Catheter > (1) | 2025.01.30 |
투석 환자의 <항혈소판약물> (4) | 2025.01.30 |
투석환자의 칼슘과 인 (2) | 2025.01.18 |
투석환자의 부갑상선호르몬(PTH) (0) | 2025.01.18 |